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자신에 대한 호기심 (1) 자아정체감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는 이러이러한 사람이다’라는 자기 존재 의식이 있으며 이 인식을 개인적 정체감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한 개인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영향을 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어린 시절의 나’를 그대로 유지하긴 어렵습니다. 특히 성인이 되면서 새로운 사회에서 오는 자극과 적응, 변화와 도전 속에서 내면의 충동과 욕구를 수용하여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인식을 재조정할 필요가 생기게 됩니다.  이때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나를 연결시키면서 독특하고 고유한 자신만의 존재라는 인식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자아정체감’이라고 합니다. (2) 나는 누구인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도 청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부딪쳐 오는 요.. 2025. 1. 25.
자신과의 친밀함 자신과의 친밀함 누구와 가장 친한가요? 친밀감이란 일반적으로 ‘개인적 정체감의 공유’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친밀감이란 비이기적인 방법으로 다른 사람과 감정이나 가치관을 교류하는 성숙된 인간관계로 자아정체감이 잘 확립된 사람이라면 원만하게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친밀감이란 자신이 무엇을 상실한다는 두려움 없이 자신의 자아정체감을 다른 어떤 사람과 공유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Evans, 1967:48). 매튜 켈리란 작가는 ‘친밀함’이란 책에서 친밀함을 7단계로 정의했습니다. 진부함이란 1단계를 지나,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 주고받는 단계인 사실 단계(2단계), 서로의 의견을 말하는 의견 단계(3단계), 꿈과 희망을 이야기하는 단계(4단계), 자신의 느낌을 공유하는 느낌 단계(5단계), 자.. 2025. 1. 25.
자문자답 면접에 성공하기 위해 어떻게 답변해야 할지 많은 고민이 있을텐데요. 준비에 앞서 자신에 대해 먼저 잘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자신에 대해 잘 알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1. 지금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마음은 어떤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또한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가장 나다운’ 삶의 나침반을 세울 수 있습니다.2. 자신이 갖고 있는 개발되거나 잠재된 능력을 발견하고 항공사 객실승무원으로서 필요한 역량과 매칭 할 수 있습니다.3. 대인관계의 기초가 되는 가족관계 속에서 함께하는 기쁨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4. 친구관계 속에서 함께 나누는 삶을 되돌아보고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5. 체력, 습관, 마인드를 컨트롤할 수 있는 건강관리에 대해 이해하고.. 2025. 1. 25.
비전보드 Day 8 ~ Day 15 8일차부터 15일차까지얼마나 놀라운 일기를 적어볼 수 있을까요? 2025. 1. 22.
비전보드 Day 1 ~ Day 7 다이어리에 적어도 좋지만, 예쁜 엽서에 적어보는 건 어떠세요?매일 새로운 기운으로요. 2025. 1. 20.
비전 보드 2025년 벌써 1월이 지나가고 있어요.그래도 우리에겐 또 다른 새해가 있으니, 오늘부터 새로운 비전보드로 일기쓰기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어떤 글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아래 주제는 어떠세요? VISION BOARDjournaling ● 올해 나의 세 가지 목표는 무엇인가요?● 앞으로 몇 달 동안 어떤 기분을 느끼고 싶으신가요?● 지금까지 나의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업적은 무엇인가요?● 어떤 새로운 기술이나 습관을 개발하고 싶으신가요?● 나의 이상적인 하루는 어떻게 생겼나요?● 누가 나에게 영감을 주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나의 건강과 웰빙 목표는 무엇인가요?● 나의 경력이나 열정에서의 성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어떤 관계를 키우고 싶으신가요?● 방문하거나 탐험하고 싶은 곳은 .. 2025.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