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6

차별화 3. 차별화  ‘나’를 분석하고 ‘시장’을 분석하였다면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차별화 포인트를 생각해 본다. 가. 자신에 대해 알아본다.1) 나의 강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자신이 유능한 리더가 되어 더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고, 개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그러기 위해서는 나를 잘 아는 주변 사람들 10명에게 내 강점 3가지가 무엇인지 물어보고, 가장 많이 나오는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혹은 유명한 MBTI 테스트와 같이 내 특성 및 강점을 알아보는 테스트를 해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예) 나의 MBTI나의 강점:예) ISTJ 신뢰할 수 있고 체계적이며 명확한 시스템과 프로세스 내에서 일하는 것을 즐깁니다. 전통적이고 과업 지향적이며 결단력이 있습니다. 2).. 2025. 1. 26.
시장 분석하기 가. 고객  1) 퍼스널 브랜드와 대상 고객 페르소나  퍼스널 브랜드에서 대상 고객 페르소나란 내가 목표로 삼는 사람들의 주요 특징을 합성한 그림이라고 한다. 여러분이 목표로 삼는 집단(타깃 집단)의 사람들의 대표적인 특징을 분석한 후, 그 특징들을 모두 가진 가상의 한 인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마케팅에서 말하는 STP전략을 활용해 보면 간단하다.   STP전략은 시장을 어떻게 설정하고 타깃을 세팅하는지에 관한 전략이다. 즉 STP는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표적 시장 선정(Targeting), 위상 정립(Positioning)의 첫 자를 딴 마케팅 전략 중 하나이다. 제품 범주와 소비자 욕구에 근거하여 동질적인 여러 고객집단을 나누고 경쟁 상황과 여러 자원을 고려하여 가장 자신 .. 2025. 1. 26.
나 분석하기 1. ‘나’분석하기  자기분석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나에 대한 시시콜콜 자세한 이야기까지 분석하라는 것이 아니다. 본인이 어떤 성향의 사람이고 어떤 열정과 강점을 가지고 경험을 쌓아 왔는지를 정리해 보는 것이다. 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크게 자신에 대해 성향, 열정, 강점, 경험에 대해 분석해 보자. ‘성향 & 열정 & 강점 & 경험’ 위의 네 가지 요소에 대해 분석을 마치면, 스스로 어떤 분야(what에 해당하는 부분)를 퍼스널 브랜딩 해야 하는지 정할 수 있다. 가. 성향 분석 1) 자신의 성격 분석하기  성향은 자신의 성격이 어떠한지 파악하면서 분석할 수 있다. ‘10인 10색’이라는 말이 있듯이 사람들의 성격은 모두 다르다. 같은 부모님 아래 형제자매도 성격이 제각각인 경우는 너무.. 2025. 1. 26.
퍼스널 브랜딩 프로세스 마케팅 그루 필립 코틀러는 ‘탁월한 존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퍼스널 마케팅(위너스북, 2010)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3. 퍼스널 브랜딩 4단계 프로세스가. Step 1 브랜드 탐색 1) ‘나’분석하기 (가) 성향, 열정, 강점, 경험 분석 : 퍼스널 브랜딩을 시작하기 전에, 스스로 어떤 사람인지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자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있겠지만 그중에서 성향, 열정, 강점, 경험을 분석한다. (나) 장점, 경험, 능력으로 전문 분야 방향 탐색 : 퍼스널 브랜딩을 위해서는,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전문성을 갖고 있을수록 고객이 찾아오는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다. 자신의 장점, 경험, 능력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방향과 분야를 정해야 한다.  2) ‘시.. 2025. 1. 26.
퍼스널 브랜딩의 시작 1. 퍼스널 브랜딩은 어디서부터 시작하고 또 어떻게 진행할까? 가. 퍼스널 브랜드 구축 필수 요소  멋진 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퍼스널 브랜드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사명(Mission), 비전(Vision), 가치(Value)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이 3가지 질문에 대해 명확하고 뚜렷하게 작성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을 두고 작성해도 ‘이게 과연 맞을까?’ 하는 불안감과 ‘더 고민해 봐야겠다’. 라는 아쉬움이 드는 게 사실이다.  나. 자신의 페르소나  퍼스널 브랜딩 시작에 있어 3가지 질문에 대해 현실의 ‘나’를 곧이곧대로 다 담아야 한다는 생각을 덜어내야 작성이 수월하다. 자신이 꿈꾸는, 희망하고 되고 싶은 ‘나’라는 존.. 2025. 1. 26.
퍼스널 브랜딩은 왜 해야 할까? 현대사회는 100세시대라고들 한다. 그래서 인생을 전체적으로 본다면 25세까지를 훈련기, 50세까지 전반전, 75세까지 후반전, 100세까지 연장전이라고 구분해 볼 수 있다. 인생이 길어졌다. 과거 한 직장에 입사하여 정년에 퇴사하는 시대에서 멀티플 라이프가 되고 있으므로 퍼스널 브랜딩은 모두에게 중요하다.   브랜딩의 시대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강렬한 인식을 가진 시대로서 고객에게 열망과 자부심을 만들어주는 브랜드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즉 고객에게 가치를 창조해 주어야 한다.  잠재적인 미래 고용주, ​​아내, 남편 또는 비즈니스 파트너는 여러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미래 관계의 성격을 결정할 수 있다.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할 계획이 없더라도 여러분에 대한 정보는 이미 나와 있다. Facebook, .. 2025. 1. 26.